Saturday, January 17, 2015

양현석 김태호!!!! 창의성의 중요성!!

A : "어른들이 20대를 보고 청춘이라고 많이 말씀들 하시잖아요? 그런데 대학에 들어오니까, 또 학점으로 친구들과 경쟁을 하고 있더라고요. 그리고 또 다른 친구들과 비교가 되는 스펙을 쌓기 위해 또 많은 노력을 하고. 어떤 평가의 기준에 따라가기만 바빴던 것 같아요. 좀 일깨울 수 있는 말씀을 듣고 싶어요." 

B : "그 학점을 따려고 하는 게 본인이 하려고 하는 것과 아주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나요?"
A : "네."

B : "어떤 일을 하실 건데요?"
A : "저는 니트 패션 디자이너가 꿈이에요." 

B : "패션 디자이너가 꿈이세요? 음…. 패션은 특히 음악과 마찬가지로 창의력이 제일 중요한 거 아닌가요? 창의력은 누구한테 배워서 되는 게 아닌데…."

만약 방송국에 들어가고 싶다면...

기사 관련 사진
▲  MBC 다큐멘터리 <남극의 눈물> 제작진들. 왼쪽부터 김재영 PD, 송인혁 촬영감독, 김진만 PD.
ⓒ MBC

누구와 누구의 대화일까. A는 대학생, 쉽게 추측이 가능하다. 그럼 B는? 양현석 YG 엔터테인먼트 대표. 그는 최근 SBS <힐링캠프>에 출연해 한 대학생과 이야기를 나눴다. 학점이나 스펙에 너무 연연하지 말라는 취지의 말, 대학생들 입장에서는 현실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말 같았을 게다. 이날 대학생의 반론 역시 그랬다. "그런데 기업들은 무엇을 즐기며 노력했는가보다는 스펙을 더 많이 보지 않나요." 양현석은 이렇게 답변했다.

"대기업에 가서 경험을 쌓으면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가 되나요? 저는 갇힐 거 같은데? 세상에 유명한 아티스트나 패션 디자이너들은 그런 식의 정규 교육과 학점을 따기 위해서 공부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중략) 뭐, 클럽에 놀러 가는 친구들과 어울리기도 하고, 좋아하는 사람이 있으면 거침없이 사귀시기도 하고, 학교를 안 다니더라도 정말 똑똑한 친구들과 만나서 커뮤니케이션도 하고…. 여러 문화에 대해 좀 더 영향을 많이 받아야 할 것 같아요."

이 답변에 창의력을 연구한 교수님들은 아마 고개를 끄덕였을 것이다. 한국적 창의성 전문가 최인수 교수는 "결국 우리의 상상력은 과거 우리가 경험했던 사물에 대한 지각과 인식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없다"라고 했다. "창의적 문제 해결은 수많은 준비와 관찰 그리고 추리라는 지난한 과정의 결과이지, 순간적인 통찰에 의해 우연히 이뤄지는 게 결코 아니란 것"이다. 

한 마디로 창의력은 결국 삶이 만들어내는 힘이란 이야기다. 욕조 속에서 갑자기 유레카가 나온 것이 아니라, 욕조 밖 아르키메데스의 삶이 유레카에 이르게 했다는 이야기다. 역시 창의적인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 <아마존의 눈물>로 잘 알려진 MBC 김진만 PD의 말 역시 양현석의 그것과 판박이다.

"방송사에서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게 창의력이란 얘기를 하죠. 많은 경험을 한 사람들일수록 좀 더 창의적인 생각을 많이 할 수 있는 것은 맞거든요. 아무것도 경험하지 못하고, 아무 책도 읽지 않았고, 아무 사람도 만나지 않는 데에서 창의적인 생각은 나올 수 없고요. 세상 아래 정말 새롭고 이런 것도 없고요. 

대학에서 정말, 학점 같은 것도 중요하지만, 여러분들이 MBC에 수석으로 입학할 필요는 없잖아요. 학점이나 필기 시험이나 그냥 기본,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만 한다면, 그외 시간들은 많은 여행을 다니고요, 많은 책을 만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런 것들이 가장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심사위원들도 그 사람이 갖고 있는 독특한 경험 같은 것들에 흥미를 많이 느끼거든요."(2012년 5월 12일, 여의도 MBC 방송대학)

삶이 만들어내는 힘, 창의력

기사 관련 사진
▲  김태호 PD.
ⓒ MBC

창의력을 키우는 데 왕도는 없다. 나쁜 길만 아니라면 가리지 말고 이런 길, 저런 길 기꺼이 걸어야 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해내지?'라는 물음을 갖게 만드는 <무한도전>, 그 중심에 있는 김태호의 결론 또한 마찬가지다.

"아이디어를 어떻게 얻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요. 대단히 새로운 건 없어요. 창의력이라는 게 제가 살아온 경험이 부딪쳐서 생기는 것 같아요. 다양한 인식과 경험이 만나면서 새로운 생각이 튀어나오는 거죠."

이 말에는 창의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단서가 숨어있다. 자신이 살아온 경험이 부딪쳐서 창의력이 생기는 것 같다고 했다. 자꾸 부딪치다 보면 그 무엇이든 녹슬거나 마모되기 마련이다. 경험 또한 그렇다. 머리에서 빼 쓰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니까 경험은 명절 고스톱 판에서 일종의 밑천이다. 밑천이 딸리면 '고'를 외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상상력이 감퇴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새로운 경험을 두려워하거나 소극적으로 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어령 선생의 에버노트에 1만4000개의 노트가 저장돼 있다는 이야기는 그래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모든 성취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아나운서로도 데뷔할 뻔한 김태호

물론 이어령 선생은 대단히 드문 경우다. 그래서 창의력을 녹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학자들이 추천하는 좋은 방법은 생소한 경험에 도전하는 것이다. 멜로물만 보던 사람이라면 액션물을 보고, 된장찌개만 먹던 이라면 인도 음식을 접해 보라고 권한다. 김태호 역시 즐겨 쓰는 방법이다.

2006년이었을 게다. 김태호는 아나운서국에 지원한 적이 있다고 한다. 이유는 단순했다. 거기 가서 '우리말 나들이'를 연출해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나. 누구한테도 말하지 않았던 도전. 김태호가 아직 <무한도전>과 결합하지 않았을 때이니, 살인적인 노동강도에 시달리던 조연출이 잠시 일탈을 꿈꿨던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생소한 경험에 대한 도전은 이뿐만이 아니다. <프로젝트 런웨이>(Project Runway), 패션 디자이너의 세계를 소재로 다루는 미국 리얼리티 쇼다. 패션에 대해 남다른 관심이 있는 만큼, 일찍부터 눈여겨본 모양이다. 그쪽에 인턴으로 일해보고 싶다는 메일을 보내기도 했단다. 2008년이었다고 하니, 그때는 <무한도전>이 한창 인기몰이를 하던 시기, 엉뚱하기 그지없다.

트위터 프로필에 '커피 공부 중'이라고 박아놓은 적도 있었다. 커피를 좋아해서, 커피 공부도 하면서 바리스타 학원도 알아봤단다. "100살을 산다고 했을 때 50∼60대까지 방송 일을 한다고 치면, 그 이후에는 어떤 것을 할까 고민하다가 커피를 택한 것 같다", 조국 교수와의 인터뷰에서 김태호가 한 말이다. 그가 즐겨 찾는 곳 또한 다소 의외라면 의외다.

미술관 옆 태호

기사 관련 사진
▲  빈센트 반 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별이 빛나는 밤에'. 김태호 PD가 뉴욕에 갔을 때 1시간 동안 지켜봤던 그림이라고 한다.
ⓒ artntip.com

"미술관을 자주 다니는 편이에요. 화가들이 그림을 그릴 때 무슨 생각을 했을까, 무슨 생각으로 저 색을 칠했을까? 혼자 유추해보기도 하거든요. 5년 전 입사하고 처음으로 휴가를 갔었는데, 그때 뉴욕에 가서 <별이 빛나는 밤에> 그림을 보고 왔었어요. 1시간 동안 그림 앞에 앉아서 생각을 했었죠. 그림과의 대화를 시도하는 거죠."(2010년 한 대학 신방과 특강에서)

<별이 빛나는 밤에>, 빈센트 반 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그림이다. 그는 그림과 대체 어떤 이야기를 나눴다는 걸까. 이 궁금증을 대신 풀어줄 사람이 있다. '현대 생활 백서' '생각이 에너지다' 등 CF를 만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 그도 그림을 좋아해서 외국에 가면 시간을 내서 꼭 미술관에 간다고 한다.

혹시 SK브로드밴드 CF에 흐르던 노래, 더블유 앤 웨일(W&Whale)의 < R.P.G Shine >이라는 노래를 기억하시는가. "건조한 눈빛, 쓰디쓴 그대의 혀, 항상 말만 앞서고 행동하진 못해"라는 가사와 함께 흐르던 이국적인 느낌의 몽환적인 영상. 박웅현은 그 아이디어가 파리에 갔다가 본 그림, 앙리 루소의 < The Dream >(꿈)에서 나왔다고 한다. 

박웅현은 울림이 있는 그림에서 받은 감동의 순간을 뇌리에 각인하고 싶어 그림 엽서들을 책상에 깔아놓곤 한다고 했다. 그리고 3년 후, SK 브로드밴드 CF를 만들다가 문득 떠오른 그림이 앙리 루소의 <꿈>. 박웅현은 "그 광고 아이디어를 나오게 만든 강력한 추진체는 앙리 루소의 그림이었다, 그러니까 아이디어가 나온 곳은 내 책상 위 엽서였다"라고 강조한다. 

그러니까 김태호가 미술관에서 그림과 나누는 이야기도 결국, 자신의 머리에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행위인 셈이다. 상상력은 시각적 이미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최근 <에디톨로지>란 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김정운 여러 가지문제연구소장 역시 늦은 나이에 그림 공부를 시작한 사람. 그는 "창조는 논리적인 사고를 뛰어넘는 것이기에 철저하게 미학적 경험에서 나온다"라고 강조한다. 최인수 교수의 연구 결과 또한 비슷하다. 창의적 인물의 상당수는 어렸을 때부터 정기적으로 박물관에 다녔다고 한다. 

김태호와 양현석의 공통점 '난독'

기사 관련 사진
▲  최근 SBS <힐링캠프>에 출연한 양현석 YG 엔터테인먼트 대표. 사진은 지난 11월 K팝스타 제작 발표회 현장.
ⓒ 이정민

상상력을 풍부하게 만드는 또 다른 행위는 간접 경험, 책 읽기다. 앞서 소개한 최인수 교수의 시카고 대학 시절 연구에 참여한 창의적 인물들 대부분이 책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김태호도 물론 독서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여기에 일종의 반전이 숨어 있다. 그는 난독증이다. 여러 차례 인터뷰를 통해 그는 <한겨레>를 다 읽는데 6시간이 걸릴 정도로 활자 이해가 상당히 느리다고 밝혔다. "책은, 태어나서 한 권도 읽어 본 적이 없다, 책을 읽으면 반 페이지부터 글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건 양현석의 말이다. 그 역시 난독증이라고 <힐링 캠프>를 통해 고백했었다. 대한민국 예능계를 좌지우지하는 두 사람 모두 난독증, 흥미로운 사실이다.

앞서 설명했듯 상상력은 시각적 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이는 김태호의 다음 말과 정확히 일치한다. "어떤 상황이나 맥락을 보통 이미지나 화면으로 기억한다" 또는 "이미지로 사고하는 게 익숙하다". 아마 양현석도 그럴지 모른다. 결국 그들의 창의력은 자신의 단점을 장점으로 전환한 것에서 비롯된 셈이다. 위기와 기회가 한 몸인 것처럼, 그렇다, 사실 장점과 단점도 한몸이다. 

물론 김태호만을 위한 이 글의 결론은 하나 더 있다. 그럼에도 그는 책을 읽으려고 엄청나게 노력한다는 점이다. 김태호는 천재가 아니다. 그를 가까이에서 지켜 본 사람들 이야기다.

그의 머릿속 비밀이 하나 풀리다

"김태호는 창의적이다, 이런 생각을 갖고 대하게 마련이잖아요. 사람이 스타일리쉬하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재능의 결과겠지, 뭐 이런 거요. 그런데 정작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바쁜 와중에도 어떤 영감을 얻으려고 굉장히 많이 노력한다는 걸 알게 돼요. 베스트셀러는 물론 잡지들도 다 읽는 것 같더라고요.

책만 많이 읽는 게 아니고 미술관도 다닌다고 하고, 공연도 연극, 뮤지컬뿐 아니라 클럽 공연까지 안 가리고 다 가는 것 같았어요. 자기가 좋아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어떤 영감을 얻어 프로그램과 연결시키려고 그렇게 한다고 그러더라고요. 솔직히 김태호 PD, 그 연차에서는 최고잖아요. 충분히 자만할 수 있는데 그런 게 없었어요."

MBC에 출입하던 한 전직 기자의 말. 지금은 기자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니, 어떤 이해 관계에 얽히지 않고 김태호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의 이야기다. <씨네21> 김혜리 기자는 섬세하고도 묵직한 메시지를 담아 김태호의 성실함을 이렇게 표현하기도 했다. 

"사진을 촬영하는 동안 그의 배낭을 맡았다가 무게에 무릎이 꺾일 뻔했다. 자료 파일과 서류,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가 들어 있다고 했다. 그 등짐을 멘 채 김태호 PD는 지인의 결혼식장에 가는 길이었다. 누군가에게 '재미'란 그렇게 지구만큼 거대하고 무거운 것이었다."

선배가 바라보는 김태호 역시 노력파다. 그의 한참 선배, MBC 한 예능 PD는 이렇게 말한다.

"천재성? 그런 건 아니라고 봐요. 무엇보다 절제력이 있어요, 절제력이. 예능판에서는 무엇보다 절제력이 없으면 안 되거든요. 태호가 천재적이라기 보다는 성실하기 때문에 여기까지 왔다고 봐요. 성실하기 때문에 이뤄낼 수 있는 거죠. 9년 넘도록 꾸준히 <무한도전>을 할 수 있다는 것, 무엇보다 성실성이 없으면 안 되는 거죠."

이제까지 '헛다리'를 짚고 있었다. 창의력이 뛰어난 김태호, 그 비결은 머릿속에 있지 않았다. 성실한 '

No comments:

Post a Comment